|
집은 책으로, 정원은 꽃으로 가득 채워라.
-앤드류 랑그-
“거실을 책으로 덮어라. 이것이 자녀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교육법이다.”
누군가 했던 이 말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책 좀 읽어라.”라고 말하기보다는 책 읽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 집은 가는 곳마다 책으로 쌓여 있다. 질서정연하지는 않지만 가는 곳마다 책이 있기 때문에 책을 읽지 않을 수가 없는 분위기다.
나는 재형이가 움직이는 동선에 따라서 책을 둔다. 재형이 방에도 책상 위에, 침대 머리맡에, 그리고 책가방을 두는 곳에, 방바닥에 각종 책을 둔다. 재형이가 읽었으면 하는 책 위주로 갖다 놓는 것이다. 그러면 재형이는 공부하다가도 그 책을 펴 보고 침대에 누웠다가도 문득 집어 들곤 한다. 화장실에도 가면 책을 놓는 곳이 있다. 세면대 옆 타월 넣는 작은 장식장에도 책이 있고, 변기 앞에도 바로 시선이 머무는 곳에 책을 둔다.
재형이가 꼭 읽었으면 하는 책인데 재형이가 그 책을 읽으려 하지 않을 때에는 안타까워진다. 재형이가 자주 가는 곳마다 그 책을 옮겨 놓는 일도 허사가 되어 버릴 때쯤, 나는 이런 방법을 쓴다.
“재형아, 엄마가 이 책을 읽었는데 내가 머리가 나빠서 그런지 영 이해가 안된다. 네가 읽고 요약 좀 해 줘 봐.”
그러면 재형이는 좋아라 하며 그 책을 읽고 요약해 준다.
가끔은 신문 논술이나 잡지에서 좋은 글을 발견했을 때에도 이런 방법을 쓴다. 출력해서 건네주고 요약해 달라고 하는 것이다.
또는 이렇게 하기도 한다.
“이 글을 읽어봐. 그러면 내가 퀴즈 낼 게 있거든. 퀴즈 세 문제를 맞추면 상 줄게.”
그러면 재형이는 신나 하며 얼른 읽고는 빨리 퀴즈 내라고 한다. 퀴즈는 유치해도 된다. 애가 그 글을 익었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고등학생은 책 읽을 시간이 물론 없다. 하지만 아이에게 이런 습관을 들여 주는 것도 좋다. 이를테면 잠들기 전 30분은 책을 읽고 잠을 자게 하는 것이다. 또는 집에 와서 간식을 먹고 난 후 30분이라든지, 30분도 없으면 15분만이라도 꼭 책 읽는 습관을 갖게 해 주자.
하루라도 책을 안 읽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 느낌을 갖게 해주는 것은 너무나 중요하다.
재형이는 책을 많이 읽는 편이다. 틈만 나면 손에 책이 들려 있고, 책 읽는 것이 습관처럼 되어 버렸다. 또 주로 내가 읽은 책 중에 좋은 책을 재형의 시선에 놓아두기 때문에 나와 읽은 책이 같게 되어 대화가 통한다.
좋아하는 작가가 비슷하게 되었고, 좋아하는 문체도 비슷하게 되었다. 움베르토 에코의 유머에 대해 논하고, 신현림 문체에 대해 얘기를 나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재즈 음악 사랑에 대해 얘기를 나누고, 요즘의 판타지 문학에 대해서도 얘기를 나눈다. 음악가들의 인생에 대해 논하고, 철학자들의 괴벽에 대해서도 대화를 나눈다.
강제로 책을 읽으라고 하고, 논술 문제에 나오는 책을 골라서 억지로 읽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책을 읽는 것이 고통스럽다고 인식되면 정말 안 된다. 책을 읽는 것이 즐거움이어야 한다. 그냥 눈길이 머무는 곳에 있기에 들어서 읽어보았더니 재밌더라, 엄마가 읽길래 무슨 책인가 해서 봤더니 그게 참 유익하더라. 이렇게. 책 읽는 것이 놀이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
논술이나 글짓기 훈련도 학원에서 억지로 공부해서 되는 게 아니라 자연스러운 이런 독서 습관에서 오는 것이다.
이런 독서 습관은 아이의 유머 능력과 토론 능력을 길러 준다. 그리고 세상을 보는 눈을 넓게 해 주고, 아이의 얼굴을 지성으로 빛나게 해 준다.
글 송정림 그림 유재형
월간 <삶과꿈> 2007년 11월호 구독문의:02-319-3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