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호야

다섯 가지의 비밀

바보처럼1 2010. 3. 28. 05:14

 
책 표지 만으로 만든 멋진 표현들
 

 





























<출처: Yahoo Image Box>
 
 
 
*    *    *

 


 돌이킬 수 없는 네 가지

















<출처: 동문카페>

 

 

 

죽기 전에 알아야 할 다섯 가지 비밀

The Five Secrets You Must Discover Before You Die 

John B. Izzo.(2008). Berrett-Koehler Publishers.  

행복과 의미있는 삶에 이르는 비밀은 무엇일까?

(What are the secrets to happiness and meaning?)

  

   왜 어떤 사람들은 삶을 사는 동안 깊은 목적 의식을 발견해 후회없이 생을 마감하는 반면, 어떤 사람들은 고통과 후회로 자신의 삶을 마치는 것일까? 나는 대략 2년 전, 수천명의 사람들에게 오랜 삶을 살았고 또 참된 행복을 찾았다고 여겨지는 한 사람을 아는지 묻고 그에 대한 답변을 받기 시작했다. 우리 모두는 삶에서 진실로 성공한 사람을 최소한 한 명은 알고 있는 것 같다. 나는 1천명이 넘는 추천을 받은 후, 연령이 59~106세 사이인 235명의사람들(그들의 나이를 합치면 1만8천년이 넘는다!)을 인터뷰 하여 자신의 삶을 돌이켜 보아 다음의 질문에 답해주기를 요청했다. "무엇이 행복을 가져옵니까?", "무엇이 우리의 삶에 의미를 줍니까?", "당신의 인생에서 무엇을 후회합니까?", "좀 더 일찍 배웠으면 하고 바란 것은 무엇입니까?", "결국 인생에서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여긴 것은 무엇입니까?" 

    

 

   인터뷰한 어르신들은 마을의 이발사로부터 회사 CEO, 시인, 원주민 추장, 학살참극의 생존자, 참전 용사 등 우리 사회의 모든 주요 종교 및 문화를 반영하는  정말 매우 다양한 범위의 사람들이 포함되었다. 나의 목표는 유명인사를 인터뷰하는 것이 아니라, 비범한 행복을 발견한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는 것이었다.  내가 발견한 것은 행복하고 의미있는 삶을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그래서 미소 지으며 세상과 고별할 수 있게 하는 것)에 대한 5가지의 명확한 주제들이었다. 나의 저서, "죽기전에 알아야 할 5가지 비밀"은 우리가 삶에서 의미를 발견하는 참된 5가지 방침과 어떻게 이런 비밀들을 이루어내며 살아갈 수 있을지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1. 자기 자신에게 진실하라 (Be True To Yourself)

 

   내가 인터뷰를 통해 배운 첫번째 비밀은 바로 "자기 자신에게 진실하라"는 것이다. 우리 모두는 각자 저마다의 독특한 삶의 여행자들이고 진정한 행복에 이르는 길은 우리 자신에게 진실하면 된다는 것이다. 이는 무엇이 우리에게 행복을 가져오고, 무엇이 우리의 삶에 문제가 되는지 집중하는 것을 뜻한다.이는 또한 현재의 삶이 자신의 영혼에 적합한지 아닌지를 일상적으로 성찰해야함을 의미한다. 우리는 매일 삶에서 즐거움을 가져다 주는 것을 알고, 우리의 삶을 바른 것들로 채우고 있음을 분명히 해야한다는 것이다. 내가 인터뷰했던 라틴 아메리카계의 한 여성은 우리가 자신의 "운명(destina)"을 따르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것은 우리 각자가 가야할 자신의 가장 진실된 인생의 길이 있고, 그것은 우리가 보통 운명이라고 할 때 만큼 무거운 느낌의 것은 아니라고 한다. 예를들어, 자신이 천성적으로 교사이고 철학자의 길을 타고 났다면, 그런 인생에 가깝게 살아갈 때 진정한 기쁨을 느낀다는 것이다.      

    

 

   스스로에게 진실하다는 것은 우리에게 자신의 꿈 대신, 다른 이의 꿈들을 살길 종용하는 목소리들을 몰아내는 것이다. 타고난 재능을 가진 지압 요법사인 론은 나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그 이야기는 그가 어떻게 자신이 의사가 되기위한 계획을 세웠다가 의학전문학교를 시작하기 바로 전, 한 지압요법사를 만나 자신의 진정한 자아와 연결되는 직업을 발견했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다른 사람들은 그에게 미쳤다고 말했지만, 그는 그것이 자신의 길임을 알았노라고 했다. 론은 나에게 자기 가슴의 목소리를 따르기 위해서는 그것을 듣기 위한 훈련을 해야하고, 또 그것을 따를 용기를 가져야만 한다고 했다. 이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삶이 우리의 깊은 자기 의식에서 진실한 것인지 묻는 것과, 때로는 우리의 영혼을 따를 용기있는 발걸음을 필요로함을 의미한다. 당신은 지금 이 순간 자기 자신에게 진실하고 있는가? 

   

 

2. 후회를 남기지 마라 (Leave No Regrets)

 

   내가 배운 두 번째 비밀은 후회를 남기지 말라는 것이다. 우리가 나이를 먹어가면서 가장 두려워 하는 것은 죽음이 아니라 삶의 마지막 때에 가까워졌지만 자신이 결코 진실하게 살지 않았다는 느낌을 가졌을 때인 것 같다. 민간전통 치유사인 톰은 자신이 지금까지 들었던 것 가장 슬펐던 말을 나에게 해주었는 데, 삶의 마지막 때에 느끼는 가장 큰 두려움은 자신의 삶을 완수하지 못했노라고 느낄 때라고 한다. 그 완수하지 못함이란 자신이 이 세상에 하러 온 것을 하지 못했다는 것을 말한다. 내가 235명의 지혜로운 사람들과 이야기하며 발견한 가장 흥미로운 것 중의 하나는 바로 거의 모든 사람들이 그들이 어떤 일을 하지 않기로 하여 감수한 위험을 후회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한 대다수의 사람들이 자신이 감수했던 위험보다 더 큰 위험을 감수했어야 했다고 말한 점이다. 내가 이 사람들에게 자신의 삶에서의 주요 전환점에 대해 물었을 때, 많은 사람들이 깜짝 놀랄만한 커다란 행복을 얻기 위해 때로는 크게, 때로는 작게 취해야할 위험 감수에 대해 말했다. 우리가 두려워하는 것 대신, 바라는 것을 향해 나아가는 핵심 중 하나는 가장 최악의 결과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가장 최상의 결과에 집중하는 것이다. 당신은 두렵지만 자신이 진정 원하는 삶을 향해 가고 있거나 그것을 위해 행동하고 있는가? 

    

 

3. 사랑이 되라 (Become Love)

 

  사랑이 되라는 것이 내가 인터뷰한 사람들로부터 배운 세 번째 비밀이다. 놀랄 일도 아니지만, 사람들에게 가장 행복을 주는 근본이며, 또 가장 큰 후회를 남기는 부분은 사람들과 함께 했었어야 했던 것들이다. 내가 발견한 것은 자신의 삶에서 사람들을 우선으로 하고 그들과 깊은 관계를 맺은 사람들이 진정한 행복을 찾았다는 점이다. 그들 중 많은 이들이 나에게 말했다. "일들"은 거의 참된 즐거움을 가져오지 않지만, 이에 반해 가족과 친구들과의 관계는 지속적인 행복을 가져온다고. 관계에 집중하는 한 가지 방법은 우리가 일에서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개인적 관계를 위한 내적인 목표들을 갖는 것이다. 하지만 내가 털어놓는 가장 흥미로운 것은 이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이 된다는 것, 사랑을 주기로 선택한다는 것은 행복을 얻기 위함보다는 "행복하기로 결심한다"는 점에서 한층 더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이들은 나에게 이 세상에서 나만의 방식으로 사랑과 친절을 선택한다는 것의 중요성을 말했다. 그들은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이 되기로 선택할 때에 삶의 깊은 의미를 발견할 것이라고 가르쳐 주었다.   

   

 

4. 지금 이 순간을 살라 (Live the Moment)

 

   네 번째 비밀은 지금 이 순간을 살라는 것이다. 사람들이 말한 가장 일반적인 것들 중 하나는 얼마나 삶이 빠르게 지나가며 각 순간들을 즐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다. 한 여성은 나에게 말했다. "젊었을 때에는 60살이 정말 까마득한 먼 날로 보일 테지만, 그 때에 이르면 정말 순식간이라고 깨달을 것이다" 라고. 그들이 나눠준 비밀들 중에는 현재에 살아가고, 지금 자신이 경험하는 것이 무엇이든 충만하게 즐기는 것이(자신이 다른 어딘가에 있기를 바리지 않고), 그리고 자신이 가지지 않은 것보다는 자신이 고맙게 여기는 것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을 모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것들이 있었다. 그들은 나에게 말했다. 우리는 과거를 뛰어넘을 힘이 없고 미래를 넘어설 힘 또한 거의 없다고.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말했다. "만약 스스로 '나는 언젠가 행복해질거야' 라거나 '내가 ~한다면 행복해질텐데.'라고 말하는 자신을 발견한다면, 행복은 나의 내면에서 이루는 선택임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 여성은 나에게 '자신의 삶에 대해 비판하기를 멈추고 삶을 살기 시작하라. 삶에서 승리하기 위해 자신에게 늘상 점수 매기는 일을 이제 그만하고, 대신 매일매일 지금 이 순간을 충만하게 살라'고 말했다. "당신은 바로 지금 이 순간, 자신의 삶을 비판하기보다는 즐기는 것에 집중하며 감사함으로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  

    

5. 받기보다는 주라 (Give More Than You Take)

 

   마지막 다섯 번째의 비밀은 이것이다. 받기보다는 주라. 그들의 삶에서 가장 큰 의미를 주었던 것이 무엇인지 물었을 때, 사람들은 나에게 재차 반복하여 말했다. 자신이 있는 지금 여기가 단연코 가장 큰 의미를 얻을 수 있기 곳이 때문에, 지금 여기에서 자신이 가장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을 알고, 또 봉사했었다는 점이다. 일에서나 개인의 삶에서 의미를 주는 것은 우리가 받은 것이 아니라 우리가 준 것들임을 나는 배웠다. 또한 그들 중 많은 이들이 나에게 상기시킨 점은, 우리는 우리가 세상으로부터 받는 것(예를 들어, 사람들이 우리를 사랑할지, 우리가 복권에 당첨될지 등)을 통제할 수는 없으나, 우리가 세상에 주는 것(우리가 친절할지, 자비로울지,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주는 것 등)은 완벽히 통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들은 우리가 세상으로부터 얻는 모든 것들은 우리와 함께 사라질 것이지만, 우리가 세상에 주는 모든 것들은 결국 다시 살아날 것이라고 일러주었다. 수잔이라는 한 현명한 여인은 나에게 말했다. '우리가 어렸을 때는 우리 자신을 위해 울지만, 나이를 먹어가는 만큼 우리는 세상을 위해 우는 법을 배운다'고. 진정 모든 영적 전통들이 우리에게 일깨우는 바는 참된 행복은 봉사하는 것에 집중하고 그 과정에서 즐거움을 발견한다는 점이다. "당신은 매일의 삶에서 주는 것에 집중하고 있는가, 아니면 받고 있는 것에 집중하고 있는가?"   

  

삶에서 이 비밀들을 살려내야 한다 (You Must Live the Secrets)

 

   내가 또한 발견한 것은 이 비밀들을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는 것이다. 우리는 반드시 삶에서 이 비밀들을 살려내야 한다. 한 사람이 나에게 말했다. "우리 대부분은 중요한 것을 안다. 하지만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이 아는 것들을 실천으로 옮겨야만 한다. 내가 인터뷰한 사람들은 나에게 어떻게 사는 것이 진정 잘 사는 것인지에 대해 대단히 많은 비밀들을 가르쳐 주었다. 그 많은 가르침들 중에서 내가 좋아하는 한 가지는 64세의 조엘이 매 순간 자신을 일깨우는 방법이다. "내가 아침에 일어나 처음 하는 것은 신과 우주에게 오늘 하루를 더 살아가게 해주심을 감사해 하고, 또 매일의 삶을 하나의 선물로 받아들일 수 있기를 기도하는 것이다. 밤에 잠들기 전에는 명상의 시간을 갖고 그 날 받은 감사한 것들을 기억하며, 살아갈 수 있는 하루를 더 주십사 요청한다." <출처: 카페 회원 메일>

 


♬ 미안해요, 고마워요 / 변진섭

 
 

해외 성인 랩 댄스(Lap Dance) 뮤직 비디오 클립 체험

아래 일부 가사에서도 나타나듯이 기성세대를 부정하고 불법도

거리낌없이 행동하는 가사로 가득찬 신세대들의 노래로 보이며,

검열 받지 않은(No Cut or Uncensored) 뮤직 비디오입니다. 신세대

차원에서 편집하였으니 양지 바랍니다. <출처: 해외사이트 검색>

 

 

Dirty Dog I'm, I'm a dirty dog I'm a dirty dog
I'm, I'm a dirty dog Dirty Dog I'm a dirty dog Dirty Dog

I'm an outlaw (I'm an outlaw)
Quick on the draw (Quick on the draw)
Somethin' you've never seen before (Never Seen)
And I dare a mother fucker to come in my face
I got somethin' chrome (I got somethin' Chrome)
And I got it from home (I got it from home)
And it ain't a microphone (Ain't it a mic!)
And I dare a mother fucker to come in my face
It's so real  It's How I Feel It's this society
That makes a nigga wanna kill
I'm just straight ill
Ridin' my motorcycle down the streets
While politicians is soundin' like strippers to me
They keep sayin' but I don't wanna hear it...

Oooh baby you want me?
Oooh baby you want me?
Oooh baby you want me?
Well you can get this lap dance here for free
Now you can get this lap dance here for free
Well you can get this lap dance here for free
Oooh baby you want me? ....

 

 

*    *    *

 

 

멀미 퇴치 숨겨진 비법 4가지…
파스 붙인 배꼽 멀미야, 굿바이!

2009년 1월 [동아일보]





여행의 적, 멀미. 새해를 맞아 폼 나게 신년 구상 여행이라도 떠나고 싶지만 멀미 생각만 하면 벌써부터 속이 메슥거린다. 멀미는 건강과는 상관없는 체질문제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멀미체질은 아예 체질을 개선하든지 아니면 평생 ‘그러려니’하고 살아야 한다는 얘기이다. 오늘 생활의 지혜에서는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멀미 퇴치 방법들을 모아봤다.

① 배꼽에 파스 붙이기

중견 회사원 K 씨는 일주일에 한 두 번씩은 장거리 고속버스를 탄다. 문제는 K 씨가 멀미체질이라는 것. 그래서 애용하는 방법이 파스부착법. 근육통에 쓰이는 손바닥만한 파스 한 장을 배꼽 위에 붙이면 그만. 이 방법으로 K 씨는 멀미지옥으로부터 말끔히 벗어났다. 붙이고 있는 내내 뱃속이 뜨뜻한 것이 기분마저 좋아지는 것은 덤이다.

② 젖히거나 수그리거나

멀미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구토욕구가 강렬해진다. 당황하지 말고 천장을 향해 고개를 젖힌 뒤 눈을 감자. 급박한 순간에 효과를 볼 수 있다. 반대로 배를 감싼 채 아래쪽을 향해 몸을 구부리는 것도 있다. 구부리는 방법은 주의를 요한다. 사람에 따라 순식간에 구토욕을 억제시켜주는가 하면, 그 반대의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③ 선글라스를 쓰세요

TV 모 프로그램에 소개됐던 방법이다. 선글라스의 어두운 색이 안정을 주며, 시각적 자극을 줄여줘 효과가 있다고 한다. 특히 파란색이나 초록색 선글라스가 효과가 좋다. 그러고 보니 예전부터 버스 기사 아저씨들이 초록색 선글라스를 애용해 왔다.

④ 손에 멀미약 있다

수지요법도 좋다. 손바닥 한가운데와 중지 셋째 마디, 그리고 이 두 지점의 가운데 점을 자극해 준다. 수지침학회에서 판매하는 금속 압봉을 붙여주는 게 가장 확실하다. 어지간한 멀미도 몇 분 안 지나 서서히 가라앉는 것이 느껴진다. / 스포츠동아 양형모 기자 

 

 

 정월 한 겨울.....여기는 철원평야 남한 최북단 민통선 안..  오늘 체감온도 영하 20도.. 귓볼이 터질듯한 맹추위와

 맞서 싸우며 외줄에 몸을 싣고 전선공사에 열중하며 일하는 사람들....노고에 맘이 짠합니다.. 

<촬영일시 : 2009. 1.12,  촬영장소 : 강원도 철원 민통선 안> 중앙일보 공모전 독자 김신섭 사진

 

*    *    *

 

게으른 사람에게 우연한 기회란 없다.

-화뤄겅 (중국 수학자)-


 

주말 휴식과 함깨
활기찬 2월 맞으시기 바랍니다.
 
Scrapped & Edited in Places
& Written Partially by Hohoya, Private, 1.31, 2009
 
 
 
 

날마다 행복하세요!
날마다 건강하세요!
날마다 성취하세요!

Hohoya(好好爺)드림
*^^*
   

'호호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여고생의 치한 탈출기  (0) 2010.03.28
사랑의 후회  (0) 2010.03.28
행복한 눈물이 뭐길래  (0) 2010.03.28
자식 사랑의 점검표  (0) 2010.03.28
기축년의 불꽃처럼  (0) 2010.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