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인스닷컴과 SK텔레콤·한국정보 문화진흥원이 펼치고 있는 '올바른 휴대 전화 사용 문화 만들기' 캠페인의 수기 공모전에서 1등으로 당선된 글을 보고, 한 독자가 감동의 편지를 보내왔다.
78세 할아버지인 이 독자는 수기 당선작 '하늘 나라 시어머니가 문자를 안 받아'의 작가 손현숙씨에게 전해 달라며 10만 원 권 우편환도 동봉했다.
손현숙씨의 당선된 글과 독자의 글을 차례로 적어 소개해 봅니다.
...............................................
네 시어머니가 '문자'를 안 받아 !
내게는 핸드폰 두 대가 있다. 한 대는 내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하늘 나라에 계신 시어머님 것이다. 내가 시부모님께 핸드폰을 사드린 건 2년 전. 두 분의 결혼 기념일에 커플 핸드폰을 사드렸다.
문자 기능을 알려 드리자 두 분은 며칠 동안 끙끙대시더니 서로 문자도 나누시게 되었다. 그러던 올 3월 시어머님이 갑자기 암으로 돌아가셔서 유품 가운데 핸드폰을 내가 보관하게 되었다.
그러고 한 달 정도 지날 무렵. 아버님이 아파트 경비 일을 보시러 나가신 후 '띵 동'하고 문자 메시지가 들어왔다. 어머님 것이었다."여보, 오늘 ‘야간 조’니까 저녁 어멈이랑 맛있게 드시구려."
순간 난 너무 놀랐다.혹시 어머니가 돌아가신 충격으로 치매 증상이 오신 게 아닌가 하는 불길함이 몰려왔다. 그날 밤 또 문자가 날아왔다.
"여보, 날 추운데 이불 덮고 잘 자구려. 사랑하오." 남편과 나는 그 문자를 보며 눈물을 흘렸고, 남편은 좀 더 지켜보자고 했다.아버님은 그 후 "김 여사 비 오는데 우산 가지고 마중 가려는데 몇 시에 갈까요? 아니지. 내가 미친 것 같소. 보고 싶네" 라는 문자를 끝으로 한동안 메시지를 보내지 않으셨다.
그 얼마 후 내 핸드폰으로 문자가 왔다. "어미야, 오늘 월급날인데 필요한 거 있니? 있으면 문자 보내거라."난 뛰는 가슴을 진정시키며 "네. 아버님. 동태 2마리만 사오세요" 하고 답장을 보냈다.
그 날 저녁 우리 식구는 아버님이 사 오신 동태로 매운탕을 끊인 후 소주 한 잔과 함께 아버님이 하시는 이야기를 묵묵히 들었다.
"아직도 네 시어미가 문을 열고 들어올 것만 같다. 그냥 네 어머니랑 했던 대로 문자를 보낸 거란다. 답장이 안 오더라. 그제야 네 어머니가 돌아가신 걸 알았다.
모두들 내가 이상해진 것 같아 내 눈치를 보며 아무 말도 못하고 있었던 것도 안다. 미안하다." 그 날 이후 아버님은 다시 어머님 핸드폰으로 문자를 보내지 않으신다.
하지만 요즘은 내게 문자를 보내신다. 지금 나도 아버님께 문자를 보낸다. "아버님. 빨래하려고 하는데 아버님 속옷은 어디다 숨겨 두셨어요?"
수기를 보고 저는 너무 감동받았습니다. 현숙씨 가정과는 아무 연고도 없는 타인이어서 실례가 되지 않을까도 싶었지만 아름다운 마음씨에 감동해 편지라도 한 장 보내고 싶었습니다.
저는 78세이며 아내는 75세 된 노부부입니다. 저희는 현재 2층 단독 주택에 1층 점포를 운영하며 아무런 부족함 없이 살고 있습니다. 3남 1녀의 자식을 두고 우리 역시 며느리가 셋이나 되어 수기를 본 후 자연스럽게 며느리들을 떠올려 보았답니다.
현숙씨의 글 중에서 마지막 구절 '아버님, 빨래하려고 하는데 속옷은 어디에 숨겨 두셨어요' 부분은 너무나 큰 감동을 주었습니다. 현숙씨 아버님은 정말 천사 같은 착한 며느리를 두셔서 행복하시겠습니다. 효부상을 드린다면 정말 현숙씨가 적격이라고 생각됩니다.
현숙씨 아버님의 정이 듬뿍 담긴 말씀과 행동들은 같은 노인들에게도 귀감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현숙씨 아버님처럼 그렇게 할 수 있을까요. 수기의 그 내용은 저희 부부의 지난 세월 역시 반추하게끔 해주었습니다.
아버님은 정말 잉꼬부부셨던가 봅니다. 아울러 가정 내에서도 며느님과 얼마나 행복하게 지내실지 충분히 헤아려집니다. 고인이 된 아내 휴대전화에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그 애틋한 마음에 가슴이 시렸습니다.
생전에 아내를 얼마나 사랑했는지 충분히 짐작이 가고 홀로 되신 아버님께도 깊은 동정심을 가지게 됩니다. 저도 휴대전화라는 물건이 그토록 감동을 전달할 수 있는 매개체인 줄 미처 몰랐습니다. 현숙씨, 아버님과 함께 삼겹살에 소주파티라도 하시라고 자그마한 성의를 같이 동봉해서 보냅니다.
결례일 수도 있지만 좋은 글에 감동받은 어느 한 사람의 호의라 생각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저는 멀리서 현숙씨 가족끼리 오붓하게 파티하는 모습을 상상하겠습니다. 그럼 현숙씨 가정의 행복과 평안을 빕니다. <서핑/재편집>
Smithsonian photo contest finalists 스미소니언 잡지의 편집부는 11번째 연간 사진콘테스트의 60명의 최종 당첨자를 발표했다. 이 콘테스트는 6개의 부문으로 구성된다. 세계의 자연, 여행, 사람, 미국, 보정사진, 영상이다.
Hiking break at Devil's Wall. "Devil's Wall and the Harz region had always been an inspirational source for German poets and artists like Brothers Grimm or Caspar David Friedrich. My aim was to elaborate this natural topic with the medium of contemporary photograph combined with that kind of certain romantic imagery of times past," says Koester. (Devil's Wall, Harz Mountains, Germany)
Neist Point Lighthouse at dusk. (Isle of Skye, United Kingdom, October 2011, Nikon D600)
A day in the Japanese Gardens. (Portland, Oregon, October 2012)
A red-eyed tree frog underwater. (El Arenal, Costa Rica, March 2013, Canon 5D Mark III)
Photograph by Craig Bill (Midland, Texas). FINALIST: Altered Images A day in the Japanese Gardens. (Portland, Oregon, October 2012)
Photograph by Aspen Wang (Hong Kong, Hong Kong)
Photograph by Porus Khareghat (Mumbai, India).
Photograph by Cammie Cooley (Ragley, Louisiana)
Photograph by Nguyễn Bảo Sơn (Phan Rang-Thap Cham, Ninh Thuận, Vietnam). While taking this image in rural Vietnam, the wind was so strong it knocked over Bảo Sơn.
Photograph by Seyms Brugger (Johannesburg, South Africa).
Photograph by Darlene Jensen (Richmond Hill, Georgia). FINALIST: Mobile "The scene is of the clouds rolling in, and a sailboat that was anchored, and preparing for the storm.
Photograph by Kenneth DiLuigi (Sewell, New Jersey). FINALIST: Americana | VOTE FOR THE READERS’ CHOICE WINNER
Dust swirls around citizens of Black Rock City as they peek into the "Black Rock Bijou Theatre," an art installation at the 2013
Photograph by Michael Frank (Rochester, New York). FINALIST: Altered Images
Photograph by José De Rocco (Buenos Aires, Argentina). FINALIST: Natural World Snails in Argentina.
▲ 미디어 체인지 ▼ 위쪽의 Media Play Button (■) Click Off 후, → 아래의 Media Play Button (▶) Click on! -플레이 중 창 하단에 뜨는 광고는 우측의 삭제바튼(x)을 클릭하시면 제거됩니다. -해당 미디어 클립 접속이 많은 시간대에는 화면 끊김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Ok Go's New Music Video Is A Feast Of Optical Illusions (기하학적 착시 공간으로 구성한 뮤직비디오 / 편집자 註)
OK Go's Music Video for their new song 'The Writing’s on The Wall' was all recorded in one take.
벌거숭이 자전거 달리기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제11회 월드 네이키드 바이크 라이드(World Naked Bike Ride)` 자전거 달리기 행사 / 로이터 2014.5.7
인간이 육체를 가진 이상 언제나 애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영혼을 맑게 하고 성장케 하는 데는 우정이 필요하다. -호호야 선문(選文) / 헤르만 헤세
To afford a cup of coffee! Scrapped in places, Edited or Written Partially by 00000, Sincerely,Private, 6.21, 2014
<Hohoya Plus>
깜빡깜빡, 치매 예방하기
쇼핑몰에 가서 이런 분 보신 적 있으세요? 자기가 주차를 어디에 했는지 몰라서 키를 들고 여기저기 서성거리시는 분, 혹시 여러분이 경험하시지는 않으셨나요? 이런 것이 반복이 되면 ‘이거 나 치매는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드실 것입니다. 치매와 건망증은 조금 다른 것입니다. 그걸 말씀드리려 해요.
치매와 건망증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치매 환자들은 자기가 잊어버리는 것이 왜 그랬는지를 잊어버리는 것이고요. 또 건망증 환자들은 어떤 기억이 상실했을 때 그것이 무엇이라고 가르쳐주었을 때 '아하 그렇지!'하는 것이 건망증입니다. 예를 들면 주차하는 곳이 어디였는지 몰라 빙빙 돌다가 자기가 주차한 곳을 찾으면 '아! 내가 여기에 주차를 했었지'하면 건망증입니다.
또 집에서 목욕을 하기 위해 탕 안에 따뜻한 물을 틀어놓았어요. 물을 계속 틀어놓고 있는데, 바깥에 TV에서 재미있는 것을 보다 보니까 물 넘치는 것을 몰랐어요. 그래서 누군가 "누가 이렇게 물을 틀어놨어?"하고 "아 내가 했지"라고 하면 건망증인데, "그거 누가 그랬어?" 이렇게 이야기하면 치매라는 것이지요.
조금 실감나게 이야기 해볼까요? 남성분들 같은 경우에 화장실을 가는 경우에 소변을 다보고 지퍼를 올리지 않고 나오면 이것은 건망증이구요. 지퍼를 내리지도 않고 소변을 보는 것이 바로 치매라고 합니다. 이런 치매는 일종의 바보가 된다는 것이지요. 치매라는 것이 고치기가 어려워요. 왜냐하면 한번 손상된 뇌신경 세포는 회복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상당히 예방이 중요하다고 볼 수가 있겠지요.
그 치매를 예방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음식을 먹는 것도 좋고 여러 가지 좋은 것이 많지만 이것 하나 기억해주세요. '사용하지 않으면 잊어버릴 것이다.' 아주 기억을 꼭해주시기 바랍니다. 무엇이든지 쓰지 않으면 우리 몸에서 잊어버리게 되어있어요.
우리가 운동을 하지 않고 어떤 동작을 취하지 않게 되면 그 동작을 잊어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계속해서 반복적인 운동을 해야 돼요. 그 운동 중에도 무엇이 좋으냐하면, 손 운동이 좋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어르신들을 보면 호두로 이렇게 하는 것 있지 않습니까? 그것이 손 운동하는 것이에요.
그런데 손 운동도 맹목적으로 하는 것 보다는 목적을 갖고 하는 것이 좋아요. 예를 들면 그림을 그린다던지 뜨개질을 한다든지, 이런 생각을 하면서 운동을 하게 되면 좋아지는데요. 왜 손이 좋냐하면 손이 우리 대뇌에서(대뇌피질은 운동영역인데 1/3이나 차지하게 되는 것이에요.) 1/3 이나 차지하는 손 운동을 계속해주면 뇌에 운동이 활성화되어 손 운동이 아주 좋다는 것이지요. 그중에서 제일 좋은 것은 가운데 손가락이에요. 가운데 손가락 끝을 자꾸 문질러주게되면 뇌의 기억력들이 좋아집니다. 그래서 치매를 예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요.
일본에서는 이런 실험을 했데요. 치아가 있는 분과 많이 빠진 분들을 비교했더니 치아가 많이 빠진 분들이 치매에 잘 걸렸다는 것이에요. 그 이야기가 무엇이냐 하면 씹는 운동이 되었느냐 안되었느냐에 따라서 치매에 걸리느냐 안 걸리느냐를 볼 수 있다는 것이지요. 자꾸 사용을 해야 운동을 해야 기억이 되살아나고 더 이상 기억을 잊어버리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그 다음에는 먹는 음식이에요. 음식 중에 어떤 것이 좋으냐하면 항산화시켜주는 음식들이지요. 예를 들면 포도, 호두. 호두 생긴 것 한번 보세요. 딱 벗기면 뇌모양처럼 생기지 않았습니까? 음식 중에서 뇌와 비슷한 음식들 같은 경우가 뇌의 활성화를 좋게 하구요. 또 하나는 씨앗류이지요. 잣, 호두, 토마토, 녹차, 포도 이런 것들이 항산화 식품이에요. 뇌가 더 이상 퇴화하지 않게끔 해주는 것들이지요.
그 다음에는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우리가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거나 근심, 초조, 불안이 생기면 뇌의 혈액순환이 안 됩니다. 그러다보면 뇌가 점점 퇴화할 수 있지요. 우리가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으면 혀가 타고 애간장이 녹고 입이 바짝바짝 마르는 것처럼 뇌에 올라가는 영양공급도 원활하게 안 되겠지요. 그래서 문제를 일으킬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뇌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뇌 꼭대기의 정수리 부분을 가끔 두들겨 주세요. 그럼 뇌의 혈액순환이 좋아지기 때문에 치매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제가 얼마 전에 본 영화 '아이리스' 몇 년 전에 봤지요. 치매에 관련한 영화인데 마지막 카피가 기억납니다. 'I love you, forever.' 이것이 바로 치매 환자분들을 도와 주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경희대 한의대 김용석 교수/넷향기/이미지 추가/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