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별로는 전남이 7곳이 선정돼 최대 수혜 지역이 됐다. 이어 경북 6곳, 전북·강원·경남 3곳, 경기·충남·충북 2곳, 부산·제주 1곳 등이다.
각 마을의 발전방향을 담은 유형별로는 생태형이 13곳, 문화형 10곳, 산업형 8곳, 관광형 7곳, 가족형 3곳, 교육형·건강형 2곳, 평화형 1곳 등으로 집계됐다.
정용덕 선정위원장(한국행정연구원장)은 “심사과정에서 지역의 의지와 관심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했기 때문에 지역별로 편차가 클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 사업비는 전북 부안군 ‘은빛갈대 서빈노을 자전거마을’이 660억원으로 가장 많고, 가장 적은 경북 의성군 ‘산수유마을’에도 44억원이 투자된다. 지역별로 편차가 큰 이유는 중앙정부가 지원 규모와 기준을 획일적으로 제시한 것이 아니라, 각 지역에서 자율적으로 작성·제출한 계획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1곳당 평균 사업비는 186억원이다. 재원은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중앙정부 관련 예산을 하나로 묶은 정책 패키지 83억원, 행자부의 재정인센티브 20억원, 지자체 자체부담 30억원, 민자유치 54억원 등이다.
선정지역은 지역발전에 장애가 되는 각종 정부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살기 좋은 지역특구’로 지정될 예정이다.
장인태 행자부 제2차관은 “오는 6월까지 지역별로 세부 추진계획이 확정되면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것”이라면서 “선정지역이 도시와 농촌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성공거점이 되도록 범정부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1차 심사는 통과했으나,2차 심사에서 탈락한 충남 예산군 ‘의좋은마을’ 등 17곳에 대해서는 ‘도(道) 지정 시범지역’으로 분류, 해당 지자체가 지원할 계획이다.
장 차관은 “각 지자체가 자체 추진하는 지역에도 올해 말에 성과를 평가해 특별교부세 등 인센티브를 줄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