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명품마을

명품마을 심사위원장 심사평

바보처럼1 2007. 3. 16. 19:37

[HAPPY KOREA] 심사위원장 심사평

민간참여·실현성 위주 뽑아 주민 아이디어 반영 돋보여

심사위원장을 맡아달라는 제안은 무척이나 행운이었던 것 같다. 민선자치 이후 지방이 많이 발전했지만, 이번 우수계획 선정이 지방자치 발전의 백미를 장식할 것 같다.

1차 심사는 40명,2차 심사는 20명이 참여했다. 심사기법도 1차는 양적인 평가를,2차는 질의응답과 토론을 하는 질적인 평가를 했다. 특히 최종 심사인 2차는 ▲지역의 여건 ▲의지 ▲목표의 적합성 ▲계획의 충실성 ▲예술성 ▲지속가능성 ▲실현가능성 ▲민간참여 ▲기대효과 등을 기준으로 심사했다.

평가에선 ‘창발성’이 돋보였다. 전 지역들이 주민들로부터 아이디어를 가져오고자 하는 노력이 컸다. 곡성의 기찻길 마을, 남원의 춘향이 얼이 담긴 구름다리 마을, 고령의 가얏고 마을 등 이름만 들어도 정겨운 마을들이 너무 많다.

심사위원장으로서가 아니고, 자연인으로서 아름다운 산과 강 그리고 해안가를 끼고 있는 정말 한번 살아보고 싶은 마을들이 우리나라에 이렇게 많구나 하는 행복감에 휩싸이기도 했다.

발표를 하면서 반드시 선정돼야 한다며 긴장과 초조감을 보이던 지자체장 또는 관계자 여러분들의 표정이 지금도 생생하다. 모든 지자체가 다 국가지정 시범지역이 됐으면 하는 것이 심사위원장의 마음이지만, 국가재정의 한계로 인해 그러지 못한 것이 안타깝다.

일부 아쉬운 점은 선정되지 못한 지역 중에는 아직도 주민들의 참여보다는 용역 위주로 계획을 세운 지역들이 보였고,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컨셉트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해 지나치게 넓거나 협소한 계획을 세운 지자체가 있었다는 점이다.

반면 전남도와 같이 하나의 시군도 탈락시키기 아까울 정도로 훌륭한 계획을 세운 지자체가 있다. 하여튼, 심사위원장으로 이번 공모전은 우리나라 지역개발의 획기적인 전환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47개 지역은 향후 우리나라 생활환경을 변모시킬 핵이 될 것이 분명하다.

정용덕 한국행정연구원장

기사일자 : 2007-02-02    3 면

'전국 명품마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조어부림.몽돌해안등 자연보존  (0) 2007.03.16
(1)경남 남해군 물건마을  (0) 2007.03.16
명품마을 탈락79곳  (0) 2007.03.16
지원 어떻게 이뤄지나  (0) 2007.03.16
'명품마을' 전국 30곳 선정  (0) 2007.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