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간을 밀도 있게 사용해 시간 조급증을 나타내지 않게 하려면 먼저 시간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그러려면 엉성한 시간 계획표가 아니라 제대로 된 시간 계획표를 작성해야 하겠지요. 요사이 시중에 나가보면 ‘플래너’라고 부르는 시간 관리를 잘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도구가 다양하게 나와 있습니다.
예전에는 수첩에 각자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시간 관리를 했다고 한다면 시간 관리를 잘 하는 것이 인생의 성공과 실패를 상당 부분 결정짓는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부터는 체계적이며 효과적으로 시간 관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플래너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지요.
플래너 등의 도움을 받아 제대로 된 시간 계획표를 작성했다고 해서 시간 관리가 완성된 것은 아닙니다. 시간 관리의 최대의 적은 엉성한 시간 계획표가 아니라 ‘지연 행동’입니다. 지연 행동이라는 것은 제 시간에 해야 할 행동을 하지 않고 뒤로 미루는 미적거리기를 말합니다. 엉성한 시간 계획표라고 해도 중요하고 긴급한 것을 미루지 않고 할 수 있다고 한다면 시간 관리를 그렇게 못하는 것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미적거리는 것일까요. 지연 행동을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만 가장 큰 이유 가운데 하나는 수면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서입니다.
계획대로라면 아침 6시 기상인데 늦잠을 자 7시에 일어나게 되면 그 때부터라도 정해진 스케줄대로 일과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은 애초부터 틀렸으니 내일부터 계획대로 살아야지.’라며 대충 그날을 보내는 사람들이 지연 행동을 많이 합니다. 늦잠 다음으로 사람들이 미적거리는 지연 행동을 하는 이유는 사람들 각자가 자신의 마음속에 품고 있는 열등감 때문입니다.
열등감과 미적거리기, 미적거리기와 그에 따른 시간 관리의 실패 간에는 무슨 관련이 있는 것일까요. 사람들은 어떤 일을 수행할 때 실패가 필연적이거나,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그 사람만큼의 성과를 낼 수 없을 것이라는 예측이 될 때 지연 행동을 합니다. 이런 사람들은 일을 만족스럽게 진행할 수 없을 만큼의 시간이 될 때까지 일의 시작을 미룹니다. 즉 미적거리는 행동의 기저에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확신이 없거나 실패를 자신의 능력 부족이라고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열등감이 자리잡고 있는 것입니다.
마감 시간에 임박해서야 번갯불에 콩 볶아 먹듯 일을 처리해 놓고는 일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것에 대한 그럴싸한 변명거리로 시간 부족을 이야기합니다.
제대로 일을 완수하지 못하는 것은 자신이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이라는 핑곗거리로 자신을 보호합니다. 더 나아가 비록 과업자체는 다소 질이 떨어지지만 시간 계획을 세워서 집중적으로 한 가지 일만을 완수한 사람보다 다양한 일을 더 많이 했다고 합리화하기도 합니다.
열등감과 관련된 지연 행동을 부모·자녀 관계와 관련시켜 살펴본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지나치게 허용적인 부모이거나 지나치게 엄격한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에게서 미적거리기가 더 흔하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자녀들이 시간 계획을 잘 못하거나 자꾸 미루는 행동을 한다면 그 행동 자체를 나무라기보다는 자녀들 마음 속에 어떤 열등감이 얼마만한 크기로 자리잡고 있는지를 먼저 살펴보세요. 그래야만 오늘 일을 내일로 미루는 진정한 원인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