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乾 | |
에너지 덩어리인 하늘을 뜻한다. 양효로만 되어 있어 그 팽창력은 강력하다. white hole의 폭발 작용을 주도한다. | |
주역의 괘에 대한 설명은 양 위주로 설명한다. 5개가 양이나 겉의 하나가 음이기 때문에 '모자란다', '결함이 있다'라는 이름을 붙였다. | |
하늘 위에 있는 태양이다. 태양이 자기의 실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는 위치를 얻었으니 크게 가지고 있는 것이다. 5효는 임금의 자리인데 임금이 음효라 빨아들이고 5개의 에너지가 충만한 양들을 가지고 있으니 크게 가지고 있는 것이다. 양이 음처럼 오래동안 보존되는 물질이 아니라 부자라고 하지는 않았다 | |
양이 왕(제 5효) 밑으로 가득 차 있다. 큰 힘을 쓴다 | |
하늘 위의 바람이다. 바람이 땅위에서 불면 물질들을 낮은 구덩이나 산밑에 쌓아 놓는다. 바람이 높게 하늘에서 부니 쌓아 놓은 것이 아주 작다. | |
물이 하늘에 있으니 비가 고루 뿌려 만물이 수요하는 물을 공급해 줄 수 있다. | |
하늘 위의 산이다. 아주 큰산이므로 크게 쌓아 놓은 것이다. | |
하늘 위에 땅이 있다. 하늘과 땅이 교류가 잘 되고 있는 상태이다. 하는 일이 순조로우니 마음이 태평하다 | |
연못 위에 하늘이 있다. 태괘는 속에 양들을 모아 놓은 형상인데 더 모아들이고자 하는 것(건-3양)들이 온통 그 주위를 덮고 있다. | |
연못이 겹쳐 있다. 많은 것을 모을 수 있다. | |
태양이 바다 위에 떠올랐다. 화살이 활을 떠난 모습이고 로켓이 바다위로 발사된 모습이다. 다 큰 여자가 시집가는 양상이다. 서로 분리되는 양상이다 | |
연못 위의 번개이다. 번개는 원래 비가 올 때 생기는 것인데 비는 연못이 증발하여 생기나 번개가 연못 위에 치는 것은 본래 떠난 곳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마치 시집간 누나가 돌아오는 것과 같다. | |
괘모양을 보면 상하의 두효는 양이고 가운데 두효는 음이다. 꼭 러자니아나 찐빵이나 만두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가운데 속이 가치가 있다. 그래서 중간이 참되고 예쁘다. (孚-예쁠 부) | |
연못 위의 물이다. 물이 연못에 담기므로 물의 형체가 생기며 절도가 생긴다. | |
연못 위의 산이다. 산과 연못은 서로 대립되는데 같이 있으면 손해가 난다. | |
연못 위에 땅이 있다. 연못에 물을 가득 채워 땅에 접근할 기세이다. 하괘의 양이 자라면서 하괘를 양으로 다 채우면서 상괘로 접근하고 있다. |
'민속·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복희 8 괘 와 문왕 8 괘 (0) | 2006.04.05 |
---|---|
[스크랩] 64괘 버튼 (0) | 2006.04.05 |
[스크랩] 이괘와 진괘 계열의 중괘 (0) | 2006.04.05 |
[스크랩] 손괘와 곤괘 계열의 중괘 (0) | 2006.04.05 |
[스크랩] 간괘와 곤괘 계열의 重괘 (0) | 2006.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