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고의 코스모스 화가 유미아라키의 작품 모음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것... 마음의 문을 열면 분명 사랑스러운 사람이 다가 올 겁니다. 언제부터인지를 잊어버릴 정도로 누구나 가지고 있는 온화함과 진심을 어린시절 마음속에는 창이 있어서 아름다운 것을 그리는 데에는 잘한다,못한다 보다는 ※코스모스(cosmos)는 그리스어로 우주, 조화를 의미하고
그것은 오직 하나의 마음 일지도 모릅니다.
나는 꿈, 진실, 희망이라는 단어를 정말로 좋아 합니다.
아무리 괴로운 때라도 꿈을 가지고 진심을 담아 보인다면
희망은 절대 사라지는 일은 없습니다.
우주는 끝없이 넓고 어쩌면 굉장히 가까운 것 일지도 모릅니다.
정신없이 피는 코스모스도 우리들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두 손을 하늘에 뻗어 우주와 손을 맞잡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자연에 코스모스를 그리게 되고
어느새 마음의 꽃밭은 온통 코스모스로 가득할 정도로
그리게 되었습니다.
마음속 가득히 꽃다발로 그릴 수 만 있다면 ...
이라고 계속 생각 해왔습니다. 한 송이 꽃~ 한 송이 꿈입니다.
일사의 저편에서 문득 마음속의 꽃에 관심을 가져봐 주세요.
분명 무엇보다 아름다운 미소가 생겨날 겁니다.
그것을 열면 어떠한 꿈이라도 피어난다고 믿고 있었습니다.
내 마음의 문에는 빛 속을 춤추는 나비와 같이
코스모스가 피어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사랑스러운 마음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랑하는 마음에는 희망과 진심 그리고 진실이 있습니다.
언제까지나 믿음의 마음. 코스모스를
계속 그리고 싶다고 간절히 바랬습니다.
그림을 보시고 온화한 마음의 문을 지니시길 바랍니다.
<화가의 초대글에서/재편집>
중국에서는 사상의 꽃이라 불리워지는데
영원에 다가가는 두 개의 영혼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마음의 바다에서 피어나는 코스모스
온화하고 편안한 시간속으로
더없는 행복을 꿈꾸며
-이 창 너머에...-
-수면위로 떠오르는 속삭임-
-잊을 수 없는 진심-
행복한 하늘
베트남에서 발견된 세계 최대의 동굴
| 찾기 힘든 입구 |

| 고층빌딩이 들어갈 공간 |

| 강을 건너 |

| 거대한 석순 |

| 거대한 폭포 |

| 매직 월드 |
| 빙빙 도는 듯한 루트 |
| 아래에 정글이 있다! |

| 지하 광장 |

| 동굴의 진주 |
| 희귀한 수집품 |

| 막힌 길 |

| 벽을 넘어라 |

위쪽의 Media Play Button (■) Click Off 후, → 아래의 Media Play Button (▶) Click on!
-플레이 중 창 하단에 뜨는 광고는 우측의 삭제바튼(x)을 클릭하시면 제거됩니다.
California Gurls (girls) Sims 2 Katy Perry Ft. Snoop Dogg Remake
용불용설 어느 부인이 아이를 낳았는데 부부가 그 원인을 알기 위해 이튿날 좀 더 큰 병원엘 가 봤다. 그 다음날은 아주 큰 대학병원엘 갔다. "죄송하지만 혹시... 남편이 "한두 번 합니다만..." 하니까, . "녹이 슬었기 때문입니다!" |
정확한 누드매쓰게임 시계
명절 때 속 터지는 일 1. 가깝게 살면서도 늦게 오는 동서 2. 형편 어렵다며 빈손으로 와서 갈때 이것저것 싸가는 동서 3. 조금이라도 빨리 가 쉬고 싶은데 눈치 없이 고스톱 계속 치는 남편. 4. 술 취했으면서도 안 취했다고 우기며 가는 손님 붙잡는 남편 5. 시댁은 바로 갔다 오면서 친정에 일찍 와서 참견하는 시누이 6. 잘 놀다가 꼭 부침개 부칠때 와서 식용유 엎는 조카 7. 기름 냄새 맡으며 간신히 부쳐놓은 부침개를 날름 집어먹는 남편 8. 며느린 친정 안 보내면서 시집간 딸은 빨리 오라고 하는 시어머니 9. 시댁에는 20만원, 친정에는 10만원으로 차별하는 남편 10. 늦게 와서는 아직도 일하고 있느냐며 큰소리 치는 형님 11. 막상 가려고 하면 '한 잔 더하자'며 술상 봐 오라는 시아버지 |

캉캉 춤 속의 캉캉-패션과 캉캉의 만남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디자이너 장 폴 고티에(프랑스)의 2011 봄/여름 오트쿠튀르 패션쇼에서 한
무용수가 캉캉을 추고 있다./Benoit Tessier 로이터·동아 특약 2011-01-27
-인용-

Scrapped in places, Edited or Written Partially
by 0000, Sincerely, Private, 1.28, 2011

생활국어 제대로 알고 쓰자 - 올바른 인사법 "호상이네요" 안하느니만 못한 결례 신년 때 수명에 관한 덕담 피해야 문상 가서 사망경위 묻지 말아야 ![]() ◇ 송년·신년 인사법 송년 인사는 상대방에 대한 감사와 격려의 뜻을 담으면 된다. '올 한해 보살펴 주셔서 고맙습니다', '올 한해 수고 많았네(아랫사람에게)'로 표현하면 적당하다. '고마웠습니다'라는 과거형 표현은 굳이 쓸 필요 없다. 여기서 자주 틀리는 말이 있다. 바로 '감사드립니다'라는 표현이다. 감사는 드릴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그냥 '감사합니다'라고 말하면 된다. 그러나 이보다 고유어인 '고맙습니다'라고 말하는 게 가장 좋다. '축하드립니다'도 같은 원리다. 그냥 '축하합니다'라고 하면 된다. 신년 인사로는 주로 절을 한다. 이때는 별도의 인사말이 필요 없다. 절 자체가 인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정도는 무방하다. 수명에 관한 얘기는 하지 않는 게 좋다. 절을 하기 전, '세배 받으세요' 같은 명령조 말은 삼가야 한다. ◇ 문상 인사법 문상 시 엉터리 인사는 유가족을 두 번 울릴 수 있다. 대표적 예가 '호상(好喪)'이라는 말이다. 어떠한 경우에도 이 단어는 상주에게 쓰면 안 된다. 아무리 친해도 안 된다. 사람이 죽는데 좋은 죽음은 없다. 위로를 해준답시고 '10년이나 병으로 고생하셨는데 잘 돌아가셨죠 뭐'라고 말하는 것도 삼가야 한다. 사망 경위를 물어서도 안 된다. 굳이 친한 관계라면 이 모든 것을 장례가 끝난 뒤 말해야 한다. 애도를 표하는 말도 경우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망극(罔極)'이란 말은 부모상에만 사용해야 한다. 고분지통(叩盆之痛)은 부인상에, 천붕지통(天崩之痛)은 남편상에, 할반지통(割半之痛)은 형제자매상에 써야 한다. 자녀상일 때는 참척(慘慽)이나 참경(慘景)이란 말을 사용하면 된다. 이 모든 게 헷갈린다면 그냥 '얼마나 슬프십니까?',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로 말하면 된다. 이는 모든 상황에서 쓸 수 있는 표현이다. / 충북일보 임장규기자 |
구두를 보면 치매를 안다 ![]() 최근의 의학 연구를 보면 치매 예방에 가장 좋은 것이 걷기다. 그것도 빠르게 걷기다. 땀내가 살짝 나는 꾸준한 걷기가 뇌 혈류를 개선하고, 특히 기억 중추인 해마(海馬)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려면 최소한 시속 6㎞ 이상 속도로 걸어야 한다. 어떤 의사는 이를 무서운 개가 길거리에서 쫓아올 때 점잖게 내빼는 속도라고 표현한다. 부단한 속보(速步)는 치매 발병 최대 위험 요인인 '3고(高)', 즉 고혈압·고혈당·고지혈증을 모두 낮추니, 일석이조다. 천천히 걷기는 사색에는 좋으나, 자칫 식욕을 자극해 과식의 빌미가 된다. 걷기 효과의 극단적인 사례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 있는 아미시(Amish) 공동체이다. 이들은 청교도적 신념으로 전기와 자동차를 거부하고 19세기 방식의 삶을 고집한다. 이들이 농장일을 하며 하루 걷는 양은 1만4000~1만8000여 보(步)이다. 미국인 성인 평균보다 6배나 많은 걷기다. 하루 5만보를 걷는 이도 있다고 한다. 아미시의 당뇨 발생률은 2%대이다. 미국 평균의 5분의 1도 안 된다. 치매와 심장병 예방 효과가 있는 HDL(고지단백) 콜레스테롤치가 아미시는 매우 높다. 이들의 치매 발생률은 매우 낮고, 설사 생기더라도 아주 늦은 나이에 오는데 학자들은 그 이유로 엄청난 양의 걷기를 꼽는다. 그런 면에서 구두를 보면 그 사람의 '치매 건강'이 보인다. 걷기에 편한 낮은 굽을 신거나 운동화 차림이라면 일단 치매와 멀어진 방향이다. 빠르게 걸으면 체중이 실리는 뒷굽 바깥쪽이 유독 많이 닳아 없어진다. 그 이유로 뒷굽을 자주 간다면 일상생활 속 걷기 합격이다(팔자걸음으로 걷는 이도 구두 바깥쪽이 쉽게 없어지긴 한다). 엄지발가락 옆 구두 실밥이 잘 터지는 사람도 속도를 내며 힘차게 걷는 경우라 볼 수 있다. 반면 구두 앞쪽에 작은 상처들이 많고 해져 있는 사람은 '치매 행보(行步)'다. 걸음을 질질 끌며 느리게 걷는 사람의 구두는 보도블록 튀어나온 부분이나 돌멩이 등에 구두 앞쪽이 잘 까지기 때문이다. 유행을 좇아 '큰 신발'이나 높은 굽을 신고 다니는 사람들은 속보에는 관심이 없는 경우다. 구두 위에 잡히는 주름 양이 왼쪽과 오른쪽이 심하게 차이 나면 걸을 때 한쪽 다리를 무의식적으로 많이 쓴다고 보면 된다. 대개 천천히 걸을 때 좌·우 편차가 크게 난다. 수십년 전 과거엔 구두에 흙이 묻어 있으면 산에서 방금 내려온 간첩일지 모른다는 말이 있었다는 기억이 있다. 하지만 이제 흙 묻은 구두는 건강의 표징이다. 치매를 막으려면, 치매가 발붙일 새 없이 걷고 또 걸어야 한다. [전문기자 칼럼 / 김철중 의학전문기자,의사] |

'호호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용지물 (0) | 2011.03.06 |
---|---|
닭벼슬과 노란자 (0) | 2011.03.06 |
프라우다와 크로와상 (0) | 2011.01.25 |
밥 한 번 먹자의 속뜻 (0) | 2011.01.25 |
아름다운 마무리 (0) | 2011.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