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 비>
---1964년 6월 9일, 불의의 교통사고로 유명(幽明)을 달리한 딸 善美를 위한 자장가로 지어 준다.
아아 내 가슴에
떨어진 流星아.
밤비는
너의 울음이었다.
땅이 움직여도,
산에 돌이 떨어져도
네가 온통
이 세상에
많은 것 같구나.
내 가슴에 묻혀 있는
너의 무덤에
해마다 무슨 꽃으로
피워 주련.
술을 먹어도,
술을 먹어도,
취하지 않는 밤.
밤비는 한 잔 술에 운다.
아빠가 태워 준
창경원의 비행기.
이 밤에도 찬 비 맞고
빙빙 돌겠지
이제 와
머리에 뒷짐 인
옛날을 말하지 않으련다.
멀리 흰 나비 한 마리
훨훨 강을
건너고 있는데,
이리도 내 가슴에
천둥이 치랴.
*작자의 말----
한국 현대시의 본질은 한국 사람의 생활과 심성에서 오는 소위 센티멘털에 두고 있다. 그것은 곧 정통파 시인들의 작품에서 보면 이멸, 한, 고독, 해수, 무상, 懷憶 등이 주제가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시의 소재는 언제나 농촌과 자연의 향토적 특성에 있었다.
<봄>
기다리지 않아도 오고
기다림마저 잃었을 때에도 너는 온다.
어디 뻘밭 구석이거나
썩은 물 웅덩이 같은 데를 기웃거리다가
한눈 좀 팔고, 싸움도 한 판 하고,
지쳐 나자빠져 있다가
다급한 사연 들고 달려간 바람이
흔들어 깨우면
눈 부비며 너는 더디게 온다.
더디게 더디게 마침내 올 것이 온다.
너를 보면 눈부셔
일어나 맞이할 수가 없다.
입을 열어 외치지만 소리는 굳어
나는 아무 것도 미리 알릴 수가 없다.
가까스로 두 팔 벌려 껴안아 보는
너, 먼 데서 이기고 돌아온 사람아.
*작자의 말---
꽃핀 화창한 날씨가 우리들의 기쁨과 생존을 위한 것이라기보다 어디 먼 나라릐 다른 사람들 때문에 있는 것만 같다.
'한국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휘파람...............이 우석 (0) | 2006.12.21 |
---|---|
봄 비................이 수복 (0) | 2006.12.21 |
봄 길............이 석 (0) | 2006.12.20 |
부 침(浮沈)............이 근배 (0) | 2006.12.20 |
강 건너 얼굴..............이 경남 (0) | 2006.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