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김석의 Let’s wine] ‘숫자’와 와인 | ||||
작년쯤이었던가. 어느 와인동호회 사이트에 재미있는 이야기가 올라 온 적이 있었다.
아주 고가의 와인들을 소장하는 것이 취미인 와인애호가의 집에 도둑이 들었다. 다른 귀중품보다 휠씬 비싼 와인들이 많아 가슴이 철렁했는데 막상 없어진 와인들을 확인하는 순간 그는 웃을 수밖에 없었단다.
제일 값비싼 보르도의 그랑크뤼 1등급와인은 제자리에 놓여 있고, 단지 사라진 건 칠레 산페드
로사의 ‘1865’라는 와인이었다. 도둑이 그런대로 와인에 대한 지식을 발휘해 와인라벨에 적힌 숫자만 보고 오래된 고급 와인으로 착각해 ‘1865’란 숫자만 보고 무척이나 오래되고 비싼 와인인지 알고 훔쳐간 간 것이다.
하지만 ‘1865’는 와인의 빈티지(포도수확연도)가 아닌 5만원 상당의 와인의 브랜드 이름이었던 것. 도둑은 와인의 이름을 빈티지로 착각한 것이다. 이렇듯 와인은 빈티지를 포함해 ‘숫자’와 상당한 관련이 많다.
흔히들 알고 있는 빈티지 이야기는 제외하고 와인과 관련된 숫자는 또 어떤 것이 있을까.
보통 포도나무 1그루 당 평균 3∼4병의 와인이
생산되며 와인 1병에는 약 1.27㎏의 포도가 소요된다. 하지만 예외도 있다. 고급와인들은 고품질의 와인을 생산하기 위해 포도나무 그루당 1잔∼1병의 와인을 생산하는 경우가 많다.
칠레 최고급 와인으로 손꼽히는 알타이르와 시데랄은 포도나무 1그루에서 와인 1병을 만들 수 있는 양만큼만 수확해 와인을 생산하며, 칼베 에이토스나 샤토 디켐의 경우는 1그루에서 1잔의 와인을 생산할 정도로 고농축의 포도원액을 사용한다.
또한 와인 중에는 포도 이외의 과일을 이용해 디저트 와인도 생산해 내는데, 피나클이라는 캐나다 퀘벡 지역의 고급 아이스와인은 얼린 사과 80개를 이용해 산도와 당도를 최고로 끌어올렸다.
한국주류수입협회 와인총괄 부회장
(금양인터내셔널 상무) 기사일자 : 2006-09-21
|
'마시는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은 와인의 계절 (0) | 2007.04.23 |
---|---|
화이트 와인 '첫 입맞춤' (0) | 2007.04.23 |
한국인은 레드 와인을 좋아해 (0) | 2007.04.23 |
포도수확 연도'빈티지'를 아시나요 (0) | 2007.04.23 |
삼겹살+카베르네 쇼비뇽 (0) | 2007.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