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 興 5>
두 보
蓬萊宮闕對南山
봉래궁궐대남산
承露金莖霄漢間
승로금경소한간
西望瑤池降王母
서망요지강왕모
東來紫氣滿函關
동래자기만함관
雲移雉尾開宮扇
운이치미개궁선
日繞龍鱗識聖顔
일요용린식성안
一臥滄江驚歲晩
일와창강경세만
幾回靑瑣點朝班
기회청쇄점조반
종남산(終南山)과 마주 선
봉래궁(蓬萊宮)에는
이슬 받는 구리 기둥
하늘에 높다.
서왕모(西王母)가 내려 온
요지(瑤池)는 서쪽.
푸른 기운 감도는
동녘 함곡관(函谷關).
구럼처럼 치미선(雉尾扇)
펼치이는 곳.
용포(龍袍) 자락 번쩍이니
상감이 납시고..... .
그 옛날 조회(朝會)에
참석하던 일
늦가을 날, 강가에
누워서 생각노니.
*봉래궁:漢의 대궐 이름. 唐의 것을 직접 말하기 어려우니까.
*남산:장안 동남에 있는 終南山.
*승로금경: 한무제는 銅으로 仙人像을 만들어 세웠는데,이 선인이 들고 있는 그릇에 고인 이슬을 장수하기 위해 먹었다.
*소한:하늘.
*서망요지강왕모: 仙女 西王母는 崑崙山 瑤池에 살았는데 周의 穆王이 가서 만나보았다는 이야기가 <列子>에 나온다.7월7일에 漢武帝도 서왕모를 宮中에서 만났다는 말이 있다.
*동래자기만함관: 函谷關을 지키는 尹喜가 동쪽에 푸른 기운이 감도는 것을 보고 성인이 나타나리라 여기고 기다렸더니,노자가 靑牛를 타고 지나갔다. 도덕경은 이 때에 노자가 써 준 것이라 한다.
*운이: 부채가 펼쳐지는 모양.
*치미:꿩의 꼬리털로 만든 큰 부채니 곧 宮扇이다. 황제가 나올 때, 이것을 좌우로 펼치게 되어있다.
*용린: 황제의 옷에 수놓은 용의 비늘.
*성안: 황제의 얼굴.
*창강: 양자강을 가리킴.
*청쇄: 宮門의 이름. 문짝에 자물쇠의모양을 조각하고,이것에 푸른 칠을 입혔으므로 이리 부름.
*조반: 朝會 때의 班列.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悲 歌1...........杜 甫 (0) | 2007.07.13 |
---|---|
秋 興 7.........杜 甫 (0) | 2007.07.13 |
秋 興 4..........杜 甫 (0) | 2007.07.13 |
秋興1.......杜 甫 (0) | 2007.07.13 |
아우를 생각하고.........杜 甫 (0) | 2007.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