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마(木馬)와 숙 녀>
한 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버지나아 울프의 생애와
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
목마는 주인을 버리고 거저 방울소리만 울리며
가을 속으로 떠났다 술병에서 별이 떨어진다.
상심한 별은 내 가슴에 가볍게 부서진다.
그러면 잠시 내가 알던 소녀는
정원의 초목 옆에서 자라고
문학이 죽고 인생이 죽고
사랑의 진리마저 애증의 그림자를 버릴 때
목마를 탄 사랑의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세월은 가고 오는 것
한 때는 고립을 피하여 시들어 가고
이제 우리는 작별하여야 한다.
술병이 바람에 쓰러지는 소리를 들으며
늙은 여류 작가의 눈을 바라다 보아야 한다.
......등대......
불이 보이지 않아도
그저 간직한 페시미즘의 미래를 위하여
우리는 처량한 목마 소리를 기억하여야 한다.
모든 것이 떠나든 죽든
그저 가슴에 남은 희미한 의식을 붙잡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서러운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두개의 바위 틈을 지나 청춘을 찾은 뱀과 같이
눈을 뜨고 한 잔의 술을 마셔야 한다.
인생은 외롭지도 않고
그저 잡지의 표지처럼 통속하거늘
한탄할 그 무엇이 무서워서 우리는 떠나는 걸일까
목마는 하늘에 있고
방울 소리는 귓전에 철렁거리는데
가을 바람 소리는
내 쓰러진 술병 속에서 목메어 우는데---.
*한국동란을 겪은 비극, 퇴폐와 무직서, 불안과초조 등 시대적 고뇌를 신선하고 리듬있는 언어로 노래했다.
"목마"는 불안과 절마의 시대를, "숙녀"는 영국의 여류작가 버지니아 울프를 뜻한다..
가을 속으로 사라져 떠나가 버린 " 목마와 숙녀"의 애상과 허무--그것은 바로 작자으 고뇌인 동시에 또한 시대적인 슬픔이기도 한 것이다.
모든 떠나가는 것들에 대한 해상을 주지적으로 노래한 시.
<세월이 가면>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네.
바람이 불고
비가 올 때도
나는 저 유리창 밖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
사랑은 가고 옛날은 남는 것.
여름날의 호수가, 가을의 공원
그 벤취 위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 되고
나뭇잎에 덮여서
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네.
네 서늘한 가슴에 있네.
*도시적 감상주의와 보헤미안 기질이 넘치는 작품이다.
1956년도 환도 후의 폐허가깃든 명동 어느 술집에서 작자는 이시를 읊었고, 그를 받아 친구가 또 즉흥적으로 작곡했다는 에피소드가 전해지고 있다.
작자의 삶이 그랬던 것처럼 이시에 등장하는 모든 것은 잃어지고 사라져 보란 것들이다.
<검은 강>
신(神)이란 이름으로써
우리는 최후의 노정(路程)을 찾아보았다.
어느 날 역전에서 들려 오는
군대의 합창을 귀에 받으며
우리는 죽으러 가는 자와는
반대 방햐의 열차에 앉아
정욕처럼 피폐한 소설에 눈을 흘겼다.
지금 바람처럼 교차하는 지대
거기엔 일체의 불순한 욕망이 반사되고
농부의 아들은 표정도 없이
폭음과 초연이 가득 찬
생과 사의 경지에 떠난다.
달은 정막(靜幕)보다도 더욱 처량하다.
멀리 우리의 시선을 집중한
인간으 피로 이룬
자유의 성채(城砦)
그것은 우리와 같이 퇴각하는 자와는 관련이 없다.
신이란 이름으로써
우리는 저 달 속에
암담한 검은 강이 흐르는 것을 보았다.
*검은 강: 그것은 모든 부조리가 집약된 시대적인 강이다.
6.25동란 당시 전선으로 가는 군대외 피란 가고 있는 피란민의 행렬--그들이 엇갈리는 지점은 바로 삶과 죽음의 교차점이었다.
*주제는 전쟁의 부조리와 그 부조리를 통해 본 삶과 죽음의 한계
'한국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접...........박 화목 (0) | 2006.11.11 |
---|---|
석간(夕刊).........박 태진 (0) | 2006.11.11 |
꽃...........박 양균 (0) | 2006.11.10 |
유언......박 기원 (0) | 2006.11.10 |
바다여 너는 강자.............박 거영 (0) | 2006.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