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는 한 사람이 긴 이야기를 노래로 부르면서 중간 중간에 몸짓(발림)도 하고 말(아니리)도 섞는 성악의 한 분야이다. 판소리가 언제부터 불려왔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조선 영조 30년에 유진한(柳振漢)이 지은 만화집 춘향가(晩華集春香歌)가 오늘날의 춘향가와 같은 내용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숙종 이전에 판소리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조선전기 문헌에 보이는 광대소학지희(廣大笑謔之戱)가 판소리의 모태가 되었을 것으로 봐서 조선전기에 원초(原初) 판소리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하기도 하며, 판소리를 부르던 창우(倡優)들이 신라 때부터 팔관회(八關會)나 나례(儺禮)에서 가무백희(歌舞百戱)를 벌였던 것을 두고 신라 때까지 거슬러 올라가 신라의 선악(仙樂)이나 창악(倡樂)에 판소리의 근원을 찾기도 하지만 분명히 밝혀진 바는 없다.
판소리 명창으로 가장 오래된 우춘대(禹春大), 하한담(河漢潭)이 영조정조 때 원초(原初) 판소리를 부른 것으로 보이며 순조 때에는 권삼득(權三得), 송흥록(宋興祿), 모흥갑(牟興甲), 염계달(廉季達), 박유전(朴裕全)과 같은 명창들이 나와서 판소리 조(調)와 장단(長短)을 오늘날의 판소리와 같게 구성하여 판소리의 음악적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철종 때에는 박만순(朴萬順), 이날치(李捺致), 김세종(金世宗), 정창업(丁昌業), 송우룡(宋雨龍)과 같은 명창들에 의하여 판소리는 크게 확장되었으며, 고종 때 김창환(金昌煥), 이동백(李東伯), 송만갑(宋萬甲), 정정렬(丁貞烈)과 같은 명창들에 의하여 판소리는 오늘날과 같이 밀도있는 음악성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판소리가 발생할 당시에는 한 마당의 길이가 그리 길지 않아서 한 가객(歌客)이 많은 종류의 이야기를 판소리로 부를 수 있었기 때문에 판소리의 종류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 가운데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 배비장타령, 변강쇠타령, 장끼타령, 옹고집타령, 무숙이타령, 강릉매화타령, 가짜신선타령 등 열두 가지를 추려서 판소리 열두 마당이라 일컬었다.
그러나 점차 판소리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한 가객이 많은 소리를 부르기가 벅차게 되자, 판소리 다섯마당이라 하여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만이 전승되고 나머지는 없어져버렸다.
판소리 다섯 마당은 모두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으며 예능보유자는 춘향가에 김여란·김연수·김소희(본명:김순옥), 심청가에 정권진, 흥보가에 박녹주·강도근, 수궁가에 정광수(본명:정용훈)·박초월, 적벽가에 박봉술·박동진·한승호(본명: 한갑주) 등이 인정되었으나, 현재는 한갑주(적벽가), 송순섭(적벽가), 오정숙(춘향가), 성우향(본명: 성판례/ 춘향가), 성창순(심청가), 조상현(심청가), 박송희(본명: 박정자/흥보가)가 보유자로 활동하고 있다.
명창 한승호 옹은 1976년 6월 30일자로 적벽가 보유자로 인정을 받았다. 부친은 강산제 명창인 김채만과 대금의 명인인 조부 한덕만으로부터 소리를 물려 받았으며 한승호 명창도 부친과 동년배 명창들인 성원목, 송만갑, 이동백 명창 등에게서 소리 공부를 하였다. 형인 한갑득은 거문고의 명인으로 명성을 떨친 예인 가족이다. 8세때부터 소리를 배운 한승호 명창은 이제 외길 인생 70년이 회한에 잠긴다고 한다.
양반의 가문에서 태어나 소리를 배운 한승로 명창은 서편제 명창 김채만의 창법과 동편제 명창 송만갑의 창제를 이어받아 동서편제를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다. ‘쓸만한 소리를 하려면 듬직한 사내의 오장육부에서 우러나오는 소리’라야 한다는 한승호 명창은 노구를 이끌고도 제자를 양성하기 위해서 애를 태우고 있다.
1923년 전남 광주에서 태어난 한승호 명창은 혈통으로 전통 예인의 가문이다. 조부 한덕만은 대금과 가야금의 명인으로 삼남지방을 울렸다. 부친인 한성태 역시 김채만 명창의 수제자로 1912년 협률사 시절부터 남창 여역을 맡아 인기를 누렸던 미남명창으로 명성을 얻었다.
부친은 1920년대부터 함흥의 권번 소리선생을 지내다가 원주, 군산, 전주, 목포, 광주 등에서 소리를 가르쳤다. 작은형인 한갑득 명인(1986년 작고)은 거문고의 명인으로 거문고 산조로 보유자 지정을 받았었다. 큰형인 한영호(작고)도 조선창극단의 단원으로 일을 하기도 한 전통예인의 가문이다. 이제 노구를 이끌고 마지막 남은 힘을 제자 키우기에 전력을 한다는 한승호명창. 정체불명의 소리꾼들만 잔뜩 생겨난다고 애를 태우는 한승호명창의 적벽가 한마당이 그립다.
'전통지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나무, 열반에 들다- 목조각장 박찬수 (0) | 2006.06.02 |
---|---|
[스크랩] 전통문화의 위상을 높이고자 날을 지새우는 김덕명 회장 (0) | 2006.06.02 |
[스크랩] 양반춤으로 대를 잇는 춤꾼 하용부 (0) | 2006.06.02 |
[스크랩] 구음의 명인 진주교방굿거리보유자 - 김수악 명인 (0) | 2006.06.02 |
[스크랩] 춤·북 명인 이매방 - 얇은 사 하얀 고깔은... (0) | 2006.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