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건괘와 태괘 계열의 重괘 (1) 건乾 乾 건(하늘-마르다) 에너지 덩어리인 하늘을 뜻한다. 양효로만 되어 있어 그 팽창력은 강력하다. white hole의 폭발 작용을 주도한다. 쾌 (결함이 있다) 주역의 괘에 대한 설명은 양 위주로 설명한다. 5개가 양이나 겉의 하나가 음이기 때문에 '모자란다', '결함이 있다'라는 이름을 붙였다. 大有 대.. 민속·전통 2006.04.05
[스크랩] 이괘와 진괘 계열의 중괘 (3) 이離 明夷 명이(밝은 동이족) 땅속의 태양이다. 은허의 유적을 남긴 전설시대의 주역들은 동이족인데 이 괘사를 붙일 때쯤은 지금 중국의 주류 민족인 한족에 밀렸던 것 같다. 동이족은 지금 땅속에 숨을 죽이고 있는 태양이니 앞으로 일어나는 것이 밤이 낮으로 변하는 것과 같은 정해진 이치라고 .. 민속·전통 2006.04.05
[스크랩] 손괘와 곤괘 계열의 중괘 (5) 손巽 구(시집간다) 옛날 동양에서는 시집살이가 아주 고통스러운 것이었다. 교통이 발달하지 않아 친정과 자주 왕래할 수도 없고 통신수단이 없어 시집가는 것은 고립되는 것이다. 더욱이 중매 결혼으로 신랑얼굴도 한번 못보고 결혼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시집에 가면 모두 낯선 사람, 낯선 환경(.. 민속·전통 2006.04.05
[스크랩] 간괘와 곤괘 계열의 重괘 (7) 간艮 遯 돈(돼지를 몰고 간다) 하늘아래 산이다. 산이 하늘을 향해 높아지고 있는 형상이다. 위에는 네 개의 양이 있고 두개의 음이 아래에서 위로 발전하고 있다. 아직 그 힘이 약하고 돼지를 몰고 가듯이 갈팡질팡하고 속도가 더디지만 하늘을 향해 산이 올라오고 있다. 가기는 싫지만 가지 않으면.. 민속·전통 2006.04.05
중국 조선족이 상용하는 연변 방언 집필자 : nobopark (2006-03-31 18:45) 백과사전 연관이미지 중국 생활 속의 연변 방언 연변 방언 한 국 표 준 어 옳습네다 일없다 정신나다 나그네 필업 (* 중국어 차용) 소학 (* 중국어 차용) 초중(초등중학) (* 중국어 차용) 고중(고등중학) (* 중국어 차용) 조선말 야덥(야덟) 딸로 흥취 (* 중국어 차용) 선생질하.. 민속·전통 2006.04.03
24절기 ※ 24절기란 봄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여름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가을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겨울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입춘(立春) 입춘은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정월(正月) 절기로 양력으로는 2월 4일경이다. 입춘 전날은 .. 민속·전통 2006.04.03
[스크랩] 경상도 지역 방언 경상도 방언의 특징 경상도 방언의 특징 1. 우리나라의 방언구획 우리나라의 방언 구획에 대한 이렇다할 정설은 없다. 가장 널리 쓰이는 것으로 소창진평의 방언구획이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방언권의 명칭은 정밀한 방언구획에 의한 것이라기보다 편의에 따라 대체로 도 단위로 붙인 방언권 .. 민속·전통 2006.04.02
[스크랩] 제주방언 제주도 지역에서 쓰이는 국어 대방언권의 하나. 제주방언을, 도 단위로 방언구획을 한데에서 비롯되어 제주도 방언이라 부르기도 한다. 1. 음운 1.1 음운체계 제주 방언의 자음 체계에는 19개의 음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단모음 체계에는 9개의 음소가 포함되어 있다 제주방언의 음소 체계는 후설 원순 .. 민속·전통 2006.04.02
[스크랩] 시산제 때 제문 예제 시산제 제문 예제 예제1: (자료: 서울시립대학교 산악회) 山祭文 維歲次 丙子年 三月 三十日 子時 ㅇㅇㅇ山岳會 大將 ㅇㅇㅇ는 山岳會員 및 先輩님들과 함께 인수봉이 올려다 보이는 이 곳 북한산 기슭에서 酒果脯를 陳設하고 山神靈님께 告하나이다. 예로부터 山紫水明한 우리江山은 錦繡江山으로 자.. 민속·전통 2006.03.30